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Pattern
- JavaScript
- Java
- 백준
- exception
- Collection
- 함수형 프로그래밍
- Eclipse
- Network
- JDBC
- 파이썬
- 람다 칼큘러스
- javscript
- Python
- 큐
- 자바
- Rails
- lambda calculus
- tcp
- functional programming
- 겨울카카오인턴
- solid
- DesignPattern
- 디자인패턴
- Spring
- 프로그래머스
- design-pattern
- 스택
- 로버트마틴
- Collections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발자 노트
[DDNS]iptime 서버 주소 등록 본문
개요
보통 서버를 만들고 접속하려면 도메인등록이 필요하다. 하지만, iptime의 ddns기능을 이용하면 외부에서도 접속가능하도록 도와준다.
방법
1. 포트포워딩 설정
외부에서 [아이피 : port번호] 접속 시 어디로 연결시켜줄 지 결정한다. (NAT) 서버로 접속해주기 위해 해당 서버 포트번호로 연결시켜주는 작업을 해줘야 한다.
iptime(192.168.0.1)-> 설정 -> advanced setup -> NAT/Routing -> Port forwarding 클릭
실행 중인 서버의 아이피와 포트번호를 등록해준다.
2.ddns 설정
1.Utility -> DDNS 클릭
HostName에 원하는 주소 입력, User ID에 이메일 주소 입력
※이름 등록시 Successfully updated 가 나와야 함. 다른 사람이 사용하고 있다는 문구가 나온다면 다른 주소로 입력해주어야 한다.
반응형
'일반적인 IT주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동기 프로그래밍 - 정리 (0) | 2022.08.29 |
---|---|
2의 보수 (0) | 2022.07.15 |
expression과 evaluation이란? (0) | 2020.11.10 |
UI와 API에 대하여 (0) | 2020.03.12 |